본문 바로가기
경제관련

중앙은행이란? 중앙은행이 하는 일과 역사에 대해

by 알면 보인다. 2023. 8. 2.
반응형

중앙은행은 각 국가에서 해당 국가의 통화를 발행하고 통화량을 조절하며, 통화와 금리 등을 관리하는 정부 기관입니다. 중앙은행은 국가의 경제와 재정 정책을 지원하고 조정하여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중앙은행이란?



중앙은행의 주요 기능과 역할

중앙은행의 주요 하는 일에 대해 알아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통화 발행: 중앙은행은 국가의 공식적인 통화를 발행하고, 통화의 형태와 양을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중앙은행인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는 미국 달러를 발행합니다.
  •  
  •  
  • 통화량 조절: 중앙은행은 통화 공급을 조절하여 경기 변동에 대응하고, 물가 안정과 경제성장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을 조절하며 경제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  
  •  
  • 금리 조절: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조정하여 금융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투자와 소비에 영향을 주어 경제 활동을 조절합니다. 금리 정책은 통화량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수단 중 하나입니다.
  •  
  •  
  • 환율 관리: 중앙은행은 국내 통화의 외화 환율을 관리하여 국가의 수출입을 유리하게 만들고, 외환 시장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  
  •  
  • 금융 시스템 감독: 중앙은행은 금융 시스템을 감독하고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은행들의 예금 보호, 금융 거래 감시 등이 그 예입니다.
  •  
  •  
  • 정책 지원: 중앙은행은 정부와 협력하여 경제 정책을 수립하고 실현하는데 기여합니다. 국가의 경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앙은행과 정부가 협력하여 정책적으로 조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앙은행의 역사

중앙은행은 인류의 경제 역사와 함께 긴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중앙은행의 역사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스웨덴 중앙은행: 스웨덴은 1668년에 세계에서 첫 번째 중앙은행인 "Sveriges Riksbank"을 설립하여 역사상 최초로 중앙은행을 구성하였습니다. 이는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강화하고 정부의 재정과 통화를 관리하는 데에 도움을 줄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 영국 중앙은행: 영국은 1694년에 "뱅크 오브 잉글랜드" (Bank of England)을 설립하여 중앙은행을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설립한 국가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중앙은행의 설립은 국가 채무 발행과 금융 시장의 안정을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 미국 중앙은행: 미국은 1791년에 "First Bank of the United States"라는 최초의 중앙은행을 설립했으며, 1816년과 1836년에 두 번째와 세 번째 중앙은행을 설립했습니다. 하지만 두 번째 중앙은행이 폐쇄되고, 1863년에 "National Banking Act"가 제정되면서 현대적인 중앙은행 시스템이 구축되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 (Federal Reserve System)는 1913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미국의 중앙은행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 기타 국가들의 중앙은행: 중앙은행은 이후 세계 각국에서 증가하며, 현재는 대부분의 국가들이 중앙은행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국가의 중앙은행은 해당 국가의 경제와 금융 시스템을 안정화하고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https://linkon.id/istory

 

아이스토리

아이스토리입니다. [여름~ 폭염을 이기는 아이디어 상품 기획전] 아래 모든 상품은 쿠팡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linkon.id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는 중앙 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형태의 공식적인 통화입니다. 기존의 현금과는 다르게 디지털 형태로 발행되며, 중앙 은행이 발행, 관리, 유통하게 됩니다. CBDC는 일반 디지털 화폐와는 달리 국가의 정식 통화로 인정되고, 법적 지위를 갖습니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송금용 CBDC: 중앙은행이 발행한 디지털화폐를 개인이나 기업 간의 송금에 사용하는 형태입니다. 이러한 CBDC는 빠르고 안전한 거래를 제공하여 전자 송금을 간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현금 대체용 CBDC: 이 형태의 CBDC는 기존의 현금을 대체하고, 전자 지불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현금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카드와 연동하여 결제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중앙은행 디지털화폐가 도입될 경우 꼭 좋은 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 가지 장단점이 존재하게 됩니다.

장점

  • 안전성: 중앙은행이 발행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안전성이 보장됩니다.
  • 효율성: 전자화된 CBDC는 현금보다 빠르고 간편하며, 거래 비용이 절감됩니다.
  • 금융 접근성: 현금을 대체하는 CBDC는 금융 포함성을 높이고, 금융 시스템에 접근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단점

  • 개인정보 보호: 디지털화된 거래 데이터를 관리하는데 따르는 개인정보 보호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사이버 위협: 디지털 시스템은 해킹과 사이버 공격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보안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금융 시스템 충격: CBDC 도입으로 기존 금융 시스템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안정성 확보가 필요합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통해 통화량을 조절하고,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을 조절하여 경제 안정성을 유지하고 경제 목표를 달성하는데 사용합니다.
아래 사이트 이동하시면 기준금리 추이를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bok.or.kr/portal/singl/baseRate/list.do?dataSeCd=01&menuNo=200643 

 

|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목록) | 통화정책방향 | 통화정책 |  한국은행 홈페이지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대한민국 기준금리의 추이 정보 제공

www.bok.or.kr

 
 
 

중앙은행 대차대조표란?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는 중앙은행의 재무 상태를 보여주는 재무 보고서입니다. 대차대조표는 특정 시점에서 중앙은행의 자산과 부채, 그리고 자본을 나타내며, 중앙은행의 재무 거래와 재무 상태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중앙은행 대차대조표의 기본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산 (Assets): 중앙은행이 소유하고 있는 모든 경제적 가치의 합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자산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외화 및 금융 자산: 다른 국가의 통화, 국제 기관에 대한 채권, 금 등 외화 자산들이 포함됩니다.
  • 국채 및 채권: 해당 국가의 정부 채권과 기타 채권들이 포함됩니다.
  • 금융 기관에 대한 대여 및 대출: 상업 은행이나 기타 금융 기관에 대한 대여 및 대출 금액이 포함됩니다.
  • 기타 자산: 건물, 기계, 재고 등의 기타 자산들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부채 (Liabilities): 중앙은행이 지불할 채무 및 미지급금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주요 부채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통화 발행: 중앙은행이 발행한 통화의 총액이 부채로 기록됩니다.
  • 정부 및 기타 금융 기관에 대한 은행의 채무: 정부나 기타 금융 기관과의 대여 및 대출에 대한 채무가 포함됩니다.
  • 기타 부채: 기타 부채 항목들이 기록될 수 있습니다.


자본 (Equity): 중앙은행의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후의 잔여 가치로, 중앙은행의 지급능력과 재무 건전성을 나타냅니다. 자본은 중앙은행의 소유자에 의해 공급되며, 일반적으로 중앙은행은 국가에 의해 소유되거나 정부에 의해 지원됩니다.

중앙은행 대차대조표는 일반적으로 정기적으로 발행되며, 국가와 금융 시장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중앙은행의 재무 상태를 평가하고 경제 정책 수립에 참고자료로 사용됩니다.

 

2023.07.30 - [지식의 창고] - 외환보유고란? 현재 대한민국 외환보유고와 세계 순위 알아보기

 

외환보유고란? 현재 대한민국 외환보유고와 세계 순위 알아보기

외환보유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한 때 IMF까지 가야했던 우리나라이기에 상당히 예민한 분야이기도 합니다. 많은 기업들이 사라지고 고통을 겪었던 것을 기억합니다. 외환보유고가 무엇

go.lifeupplus.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