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관련

미생물이란 뭔가요? 알 것 같으나 자세히는 모르신다면...

by 알면 보인다. 2023. 6. 27.
반응형

자주 듣는 말로 대략은 미생물이 무엇인지 알 것 같으나 실상 누군가 물어 본다면 제대로 대답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미생물이 무엇인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미생물이란?

미생물은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생물로, 세균, 바이러스, 진균, 원생생물 등을 포함합니다. 

미생물은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생물 군집이며, 지구 환경의 조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미생물은 식품과 의약품의 생산, 환경 오염의 정화, 농업 생산성 향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미생물의 분류

미생물은 크기, 형태, 생활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분류 방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은 크기에 따라 세균, 진균, 원생생물, 바이러스로 분류됩니다.

 

가. 세균에 대하여
세균은 지구상에서 가장 작은 생물로, 크기가 약 1~10μm입니다. 세균은 단세포 생물이며, 대부분 원핵생물로 분류됩니다. 

세균은 다양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으며, 식품과 의약품의 생산, 환경 오염의 정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나. 진균에 대하여
진균은 세균보다 큰 생물로, 크기는 약 10~100μm입니다. 

진균은 다세포 생물이며, 대부분 진핵생물로 분류됩니다. 진균은 식물의 썩은 나무나 동물의 사체와 같은 유기물에서 자라며, 곰팡이, 효모, 버섯 등이 있습니다.

 

다. 원생생물에 대하여
원생생물은 세균보다 큰 생물로, 크기가 약 10~100μm입니다. 

원생생물은 단세포 생물이며, 대부분 진핵생물로 분류됩니다. 원생생물은 다양한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으며, 일부는 식물이나 동물의 기생충으로 생활하기도 합니다.

 

라. 바이러스에 대하여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더 작은 생물로, 크기가 약 0.01~0.1μm입니다. 

 세포가 없는 생물이며, 단백질과 핵산으로만 구성되어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다른 생물의 세포에 침입하여 증식하며,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미생물의 역할

미생물은 지구 환경의 조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생물은 식물의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생산하고, 유기물의 분해를 통해 토양을 비옥하게 합니다.

또한, 미생물은 다양한 환경에서 살 수 있기 때문에, 환경 오염의 정화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미생물이 다 사라진다면 지구는 곧 생명을 잃을 것입니다. 

식물은 광합성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죽게 되고,  식물이 죽으면, 유기물의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토양은 비옥해지지 않게 됩니다. 또한, 환경 오염은 정화되지 않기 때문에, 지구는 오염되어 결국 생명을 잃게 될 것입니다.

미생물은 지구에서 가장 중요한 생명체 중 하나입니다. 미생물이 사라진다면, 지구는 생명을 잃을 것입니다.

 


미생물의 활용

미생물은 식품과 의약품의 생산, 환경 오염의 정화, 농업 생산성 향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 식품과 의약품의 생산: 미생물은 식품의 발효, 의약품의 생산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발효식품인 김치, 된장, 간장에는 미생물이 사용되며, 항생제는 미생물에서 추출됩니다.
  • 환경 오염의 정화: 미생물은 환경 오염의 정화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생물은 하수의 오염 물질을 분해하고, 토양의 오염을 정화합니다.
  • 농업 생산성 향상: 미생물은 농업 생산성 향상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생물은 작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병해충을 방제합니다.

 

 

미생물의 위험

미생물은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바이러스, 세균, 진균 등 다양한 미생물이 질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식중독, 폐렴, 장염, 피부병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미생물의 안전한 관리

미생물은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지만,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유용한 생물입니다.

미생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유의해야 합니다.

미생물의 종류와 특성을 파악합니다.
미생물을 안전하게 취급합니다.
미생물이 오염되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미생물로 인한 질병을 예방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