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관련

소비자물가지수란? 최근 소비자물가지수와 해외 주요 국가 물가지수

by 알면 보인다. 2023. 7. 29.
반응형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대해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최근 소비자물가지수와 등락률, 발표시기, 물가지수의 영향, 물가지수의 이용과 해외 주요 국가들의 물가지수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란?

소비자물가지수는 특정 기간 동안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수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의 구매력 변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정부의 경제 정책 수립, 기업의 투자 결정, 가계의 소비 계획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CPI는 통계청에서 매월 발표하며, 조사 대상 품목은 400여 개로, 식료품, 의류, 주거, 교통, 통신, 교육, 오락, 건강보험, 기타 등 8개 부문으로 구분됩니다. CPI는 가중평균 방식으로 산출되며, 가중치는 소비자의 지출 비중을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CPI가 상승하면 소비자의 구매력이 하락하고, CPI가 하락하면 소비자의 구매력이 상승합니다. CPI의 상승은 물가 상승을 의미하며, CPI의 하락은 물가 하락을 의미합니다. 물가 상승은 가계의 실질 소득을 감소시키고, 기업의 투자 수익률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물가 하락은 가계의 실질 소득을 증가시키고, 기업의 투자 수익률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통계청 소비자물가지수 발표

한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통계청에서 매월 발표합니다. 발표 시각은 매월 1일이며, CPI 발표는 통계청 홈페이지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통계청은 CPI 발표와 함께 보도자료를 배포하며, 보도자료에는 CPI의 전월 대비 상승률,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 주요 품목별 상승률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3년 6월 기준 월별 소비자물가지수

 

2023년 06월 전국 소비자 물가지수입니다.

2023년 0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변동없음 , 전년동월대비 2.7% 상승하였습니다.

통계청 6월 소비자 물가지수

 

https://linkon.id/istory

 

아이스토리

아이스토리입니다. 폭염속 더위를 이기는 좋은 제품을 추천하고자 합니다. 아래 모든 상품은 아이스토리의 쿠팡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linkon.id

 

 

2023년 06월 전국 소비자물가지수

전국 소비자물가지수는 111.12입니다.

 

통계청자료,전국 소비자 물가지수

 

 

 

 

 

 

OECD 및 해외 주요 국가 소비자물가지수 보기

 

OECD, 미국, 일본, 중국, 영국 ,독일, 프랑스의 최근 5년간 소비자물가 상승률 입니다.

통계청.2023.6월기준.해외 물가지수

 

 

 

소비자물가지수의 이용

CPI는 다음과 같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물가 상승률을 측정
  • 인플레이션을 예측
  • 가계의 실질 소득 측정
  • 기업의 투자 수익률 측정
  • 정부의 경제 정책 수립

CPI는 소비자의 구매력 변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의 영향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은 가계의 실질 소득을 감소시키고, 기업의 투자 수익률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가계의 소비 계획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가계의 소비 계획이 변경되면 기업의 매출액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은 정부의 경제 정책 수립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정부는 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금리 인상, 재정지출 확대, 수입규제 강화 등의 정책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등락률이란?

등락률은 기준시점에 대한 비교시점의 증감률을 의미하며 단위는 퍼센트(%)로 나타냅니다. 등락률은 물가지수를 해석하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으로 기준시점에 따라 전월비, 전년동월비 등으로 분류 됩니다.

전월비는 지난달에 비하여 이번달의 등락률을 나타냅니다.
전년동월비는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여 이번달의 등락률을 나타냅니다.
전년누계비는 올해 현재까지의 평균 소비자물가지수와 지난해의 같은 시기의 평균 소비자물가지수를 비교한 것 입니다.
12월의 전년누계비는 곧 전년비와 동일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2023년 1월의 전월비가 0.2%라면 2022년 12월에 비하여 2023년 1월의 소비자물가지수가 0.2%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023년 1월의 전년동월비가 2.5%라면 2022년 1월에 비하여 2023년 1월의 소비자물가지수가 2.5%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023년 12월의 전년누계비가 3.0%라면 2022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의 평균 소비자물가지수가 2022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의 평균 소비자물가지수보다 3.0% 상승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소비자물가지수 선물거래란?

소비자물가지수(CPI) 선물은 미 노동부가 발표하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기초로 한 선물거래 계약입니다. 

CPI 선물은 CPI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 매수하고, CPI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 매도합니다. CPI 선물은 투자자들에게 CPI에 대한 헤지 수단을 제공하고, 투자 기회를 제공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