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관련

디플레이션이란? 대책과 예방책, 디플레이션으로 이익을 보는 곳은?

by 알면 보인다. 2023. 6. 21.
반응형

인플레이션 다음으로 디플레이션 단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미 많이들 알고 계시겠지만 좀 더 상세히 알아두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1. 디플레이션이란?

디플레이션(Deflation)은 한 국가의 경제에서 재화와 용역의 일반적이고 지속적인 물가의 하락을 의미합니다.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의 반대되는 개념이며,  경제상 거래에서 사회적으로 통산 필요되는 양 이하로 통화가 수축하여, 그 까닭으로 화폐의 가치가 상승하게 됩니다.

 

 

 

2.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사람들은 돈을 쓸 필요가 없어지고, 때문에 소비가 위축됩니다.

기업의 투자도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실업률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디플레이션은 가계의 실질 소득을 감소시키고, 기업의 이익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3. 디플레이션이 발생한 때는?

우리나라는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디플레이션을 경험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물가는 매년 2~3%씩 하락했습니다. 디플레이션이 발생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1980년대 후반의 외환위기로 인해 경기가 침체되었습니다.
-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인하했지만,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억제되었습니다.
- 유가 하락으로 수입 물가가 하락했습니다.
- 디플레이션으로 인해 소비가 위축되고, 기업의 투자가 감소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실업률이 증가했습니다. 또한, 디플레이션은 가계의 실질 소득을 감소시키고, 기업의 이익을 감소시켰습니다.

정부는 디플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해 통화량을 증가시키고, 금리를 인하하는 등의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디플레이션은 1990년대 초반에 해소되었습니다.

 

 

4. 디플레이션을 막으려면

- 정부는 통화를 발행하여 통화량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통화량이 증가하면, 화폐의 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상승합니다.
- 정부는 금리를 인하하여 자금의 유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금리가 하락하면, 기업의 투자가 증가하고, 소비가 증가합니다.
- 재정 지출을 확대하여 경제 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재정 지출이 확대되면, 기업의 투자가 증가하고, 소비가 증가합니다.
- 정부는 경기 부양책을 시행하여 경제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경기 부양책에는 세금 감면, 정부 지출 확대, 규제 완화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디플레이션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부는 디플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5.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다음과 같은 곳에서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채권의 실질 가치가 상승합니다. 왜냐하면, 채권의 원금과 이자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물가가 하락하면, 채권의 실질 가치가 상승합니다.
-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예금의 실질 가치가 상승합니다. 왜냐하면, 예금의 금리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물가가 하락하면, 예금의 실질 가치가 상승합니다.
-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채무자의 부채 부담이 줄어듭니다. 왜냐하면, 물가가 하락하면, 채무자의 부채 금액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부채 부담이 줄어듭니다.
-  유동자산의 가치가 상승합니다. 왜냐하면, 유동자산은 현금과 같은 자산을 의미하며, 물가가 하락하면, 유동자산의 실질 가치가 상승합니다.

 

* 디플레이션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부는 디플레이션을 방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하지만,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위와 같은 곳에서는 이익을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