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융시장은 자본을 모아 투자하고 대출을 제공하는 곳으로, 주식, 채권, 외환, 파생상품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거래하는 곳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금융시장은 기업과 소비자가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할 수 있는 장으로서, 국가의 경제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금융시장의 기능에 대하여
가. 자금의 효율적인 유통 기능
금융시장의 기능중 하나는 자금의 효율적인 유통을 돕는 기능입니다.
자금이 효율적으로 유통되면 기업과 소비자가 원하는 만큼의 자금을 유동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루는 데 기여합니다.
나. 위험 분산 기능
두번째 기능으로는 위험 분산을 돕는 기능입니다.
금융시장에서는 다양한 상품을 거래하기 때문에, 투자 위험을 분산시키는 데에 유용합니다.
2. 금융시장의 분류
가. 간접 금융 시장
- 간접금융시장이란 기업이 자금 조달을 위하여 금융기관을 통하는 것으로, 기업은 금융기관에 예금을 하고, 금융기관은 이 자금을 대출을 해주거나 주식을 발행하여 기업에 투자를 합니다.
- 직접금융시장에 비해 대규모의 자금이 거래되며, 금융기관의 신용평가를 통해 투자의 위험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나. 직접금융시장
- 직접금융시장이란 자금을 필요로하는 기업과 정부, 가계와 자금을 공급하고자 하는 개인, 기업, 금융기관 등이 거래하는 시장을 말합니다.
- 자금을 필요로 하는 기업, 정부, 가계가 주식, 채권, 기업어음 등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자금을 공급하고자 하는 개인, 기업, 금융기관은 이 증권을 구입하여 자금을 투자합니다.
- 직접금융시장은 자금의 효율적인 배분, 경제성장의 촉진, 기업의 자금 조달 편의성 제고 등의 역할을 하며, 자금이 투자자로부터 기업, 정부, 가계로 효율적으로 배분되어 경제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 직접금융시장으로는 증권시장, 기업어음시장, 채권시장 등이 있고, 증권시장은 주식, 채권, 기업어음 등의 증권을 거래하는 시장이며, 기업어음시장은 기업이 발행하는 기업어음을 거래하는 시장이며, 채권시장은 기업, 정부, 지방자치단체 등이 발행하는 채권을 거래하는 시장입니다.
3. 추가사항
- 금융시장은 대개 주식, 채권, 외환, 파생상품 등 다양한 상품들을 거래하는 곳으로, 주로 은행, 증권사, 보험사, 펀드 등 다양한 금융기관들이 참여합니다.
- 금융시장은 국가의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국가에서는 금융시장을 관리하고 규제하는 역할을 하는 금융감독기관을 두고 있습니다.
- 금융감독기간은 금융감독원이 금융회사의 경영상태, 자산건전성, 위험관리체계 등을 점검하고 감독하는 기간을 말하며, 금융감독기간은 일반적으로 1년 단위로 실시되며, 금융감독원은 금융회사의 감독 결과에 따라 필요시 감독기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경제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최초의 TV, 텔레비전은 누가, 어떻게 만들었을까요? (2) | 2023.06.16 |
---|---|
엘니뇨현상, 올해 여름도? 상세히 알려드립니다! (0) | 2023.06.16 |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시작하는 법, 비트코인의 전망은? (0) | 2023.06.14 |
인플레이션이란(Inflation)? (0) | 2023.06.13 |
국내총생산, GDP(Gross Domestic Product)란 무엇인가요? (0) | 2023.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