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개인통관고유번호 조회방법 발급방법 주소변경 등 상세 설명

by 알면 보인다. 2023. 11. 26.
반응형

이제는 시대가 변하면서 국내 물품만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세계에 있는 여러가지 물품을 구매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개인 통관 고유번호 발급도 의무화되었기 때문에 쇼핑몰이나 인터넷으로 해외 상품을 구매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품 구매시 개인통관 고유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개인통관 고유 번호란?

개인통관고유번호는 개인이 수입통관을 할 때 사용하는 번호입니다. 2018년 7월부터는 목록통관 실명확인제가 시행되어 개인이 인터넷으로 수입신고를 하거나 세관을 직접 방문하여 수입신고를 할 때 개인통관고유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개인통관고유번호는 총 13자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자리는 영문 알파벳이며, 두 번째 자리부터 열 번째 자리까지는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열한 번째 자리부터 열세 번째 자리까지는 다시 영문 알파벳으로 구성됩니다. 개인통관고유번호는 관세청의 개인통관고유번호 발급시스템을 통해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 번호를 통해 개인의 수입통관 과정에서 신원확인이 이루어집니다.

 

 

 

개인통관 고유번호 발급하기

관세청으로 이동하면 내 개인통관 고유번호를 조회하거나 신규발급 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 클릭하면 관세청 개인통관 고유번호 발급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먼저 개인통관 고유번호가 없는 분들을 위해 신규발급 하는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본인 인증을 해야 하는데, 휴대폰 번호를 통한 인증과 공동/금융인증서를 통한 인증, 간편인증 3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아래는 휴대폰 인증시 화면으로 성명, 주민등록번호, 자동입력방지코드를 입력후 실명인증을 클릭합니다.

 

 

 

개인통관 고유번호 조회하기

개인 통관 고유번호가 이미 있는 경우에는 더 이상 발급으로 진행되지 않고 고유 번호 조회 화면으로 넘어가게 됩니다.

그런 경우에는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고 전송을 누르면 핸드폰으로 인증코드번호 6자리가 전송되게 되는데, 그 6자리를 인증번호 칸에 입력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인증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개인통관 고유번호 발급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발급 후 시일이 지나 개인 정보가 변경된 것이 있다면 우측 하단을 눌러서 수정할 수 있습니다.

 

 

* 빨강 별표 표시된 곳은 필수 항목으로 반드시 입력해야 합니다.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등 변경된 부분은 수정하도록 합니다.

 

 

 

모바일 앱에서 개인통관 고유번호 발급 및 조회하기

휴대폰 앱에서는 [모바일 관세청]을 설치하여 개인 통관번호 아이콘을 클릭하여 휴대폰 인증, 공동/금융인증서, 간편 인증 중 1가지 방법을 통하여 인증 절차 후 발급 및 조회할 수 있습니다.

 

 

 

개인통관 고유번호의 구성(개인)

통관부호는 로마자와 숫자로 구성된 13자리 번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외직구 등을 통해 물품을 구입할 때, 배송료를 제외한 물건의 가격이 미국에서 출발한 제품은 $200 이하, 그 외의 제품은 $150 미만이면 신고가 면제되지만, 해당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관부가세(관세 + 부가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이때 수령인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통관부호입니다.

 

현재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 개인부호(P)
  • 발급년도(2)
  • 부여번호(9)
  • 오류검증부호(1)

예시: P123456789012

 

 

개인통관 고유번호의 구성(사업자)

통관부호는 상호명의 앞 4글자를 포함하며, 만약 주식회사, 합자회사 등 업체유형을 제외 한 상호명이 4자 미만인 경우 나머지 부분은 *로 채웁니다. 상호명이 영문인 경우에는 한글로 읽어서 기재합니다.

업체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영리법인: 1, 7, A, B, C
  • 비영리법인: 2
  • 국가기관: 3
  • 외국법인: 4, 9
  • 개인과세사업자: 5, 8, D, E, F
  • 개인면세사업자: 6
  • 본사설립연도는 해당 연도의 뒤 2자리를 사용합니다.

동일한 상호명과 설립연도를 가진 업체를 구분하기 위해 1부터 9까지 또는 A부터 Z까지의 순서로 부여합니다.
본사와 지사를 구분하기 위해 본사는 01을 사용하고, 지사는 02부터 99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합니다.
이와 같은 규칙에 따라 통관부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